건강한 눈, 맑은 세상 밝은 권안과가 함께 하겠습니다.
약시란?
약시의 원인
사시로 인한 복시(사물이 겹쳐 보임)를 피하기 위해 사시가 있는 눈의 황반 기능이 억제되어 생깁니다. 사시란 양쪽 눈이 서로 다른 방향을 보는 것으로, 이럴 경우 뇌에서는 우안과 좌안에서 받아들이는 상이 서로 달라 혼란을 일으키게 되며, 혼란을 막기 위해 한쪽에서 온 상을 억제(무시)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이 오래 지속되면 억제된 쪽 눈은 계속 시력이 발달하지 않아 약시가 됩니다.
약시의 원인
사시로 인한 복시(사물이 겹쳐 보임)를 피하기 위해 사시가 있는 눈의 황반 기능이 억제되어 생깁니다. 사시란 양쪽 눈이 서로 다른 방향을 보는 것으로, 이럴 경우 뇌에서는 우안과 좌안에서 받아들이는 상이 서로 달라 혼란을 일으키게 되며, 혼란을 막기 위해 한쪽에서 온 상을 억제(무시)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이 오래 지속되면 억제된 쪽 눈은 계속 시력이 발달하지 않아 약시가 됩니다.
진단 및 치료
진단
시력검사와 굴절검사, 사시검사를 시행합니다. 이러한 검사로도 이상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뇌자기공명검사(brain MRI)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
사시나 기타 약시를 유발하는 질환이 있는 경우 원인 질환을 치료합니다.
굴절이상으로 인한 약시의 경우 굴절이상을 교정해 주고, 좋은 눈을 가려 약시안을 계속 사용하도록 유도하는데, 양쪽 시력이 같아질 때까지 지속합니다.
좋은 눈 가림 치료로 약시안의 시력이 좋아지지 않거나 순응도가 현저히 나쁜 경우에는 가림 치료를 계속하기 어렵습니다.
기질 약시는 치료가 되지 않으며, 저시력 진료를 받아 저시력 보조기구의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한쪽 눈이 좋은 경우, 나머지 한쪽 눈의 시력이 나빠도 아이 본인은 물론 보호자들도 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아무 이상이 없어 보여도 만 3세 정도(협조적인 검사가 가능한 나이)가 되면 반드시 안과에 가서 눈에 관한 전반적인 검사를 받아봐야 합니다.